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 관리자 2024.04.16 18:11

      일단, 회선의 종류도 다양해요. FTTH FTTP DSL 케이블 같이 대표적인 4가지가 있고 상황에 따라 분류가 나뉘기도 해요. 각각 가진 특성도 중요하지만, 제일 영향을 많이 미치는건 끝단 장비의 종류와 사용량이 아닐까 싶어요. 예를들면, 원룸에 사는데 고급장비가 들어올 확률이 낮고, 같은 건물에 같은 장비에 물려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한다면 최악이겠지요. 반대의 경우는 최상이겠구요. 문제는 엔씨와 주고받는 데이터의 양은 유저입장에서는 크지 않아요. 서버입장에서는 트래픽이 크구요. 개인은 내꺼만 보내고 주변꺼만 받지만, 서버는 모두에게 받고 모두에게 보내야하고 더불어 계산과 검증까지 해야하니까요. 좋은 컴퓨터를 사는 이유는 주고 받는 데이터의 처리를 주고 받는 속도에 최대한 근접하게 처리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것같아요. 회선은 매우 중요하지만, 유저의 입장에서는 조금 아쉬운정도일뿐 실질적인 차이는 수치상으로 10ms(0.01초) 내외라고 생각합니다.

  • 으잇 2024.04.16 18:22 글쓴이

    관리자 님에게 달린 댓글

    아하! 0.01초 정도의 차이라면 회선의 영향이 체감상 거의 없다고 느낄수도 있겠네요 !! 답변 감사해용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6 Next
/ 26